부가가치세 이해해보기
개인사업자 A씨의 예시를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원단시장에서 원단을 구입하여 옷을 제작하고, 인터넷 쇼핑몰에서 그 옷을 판매하는 구조입니다.
A씨는 어느날 세무서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신고하여 납부하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도대체 부가가치세란 무엇이고, 어떤 금액을 어떻게 신고하고 납부하라는 것일까요?
■ 부가가치세란?
재화나 용역이 생산되거나 유통되는 모든 단계에서는 부가가치가 창출됩니다.
상품의 거래나 서비스에 제공 과정에서 얻어지는 이윤에 대해 과세하는 것이다.

- 부동산 거래에서 부가세 -
*부동산 임대를 하는 경우, 임대하기 위해서 물건지를 사는 경우 많은 금액을 부가세로 납부하고, 환급받았다.
일반 사업자는 그때그때 물건을 가져오는 형태이고, 매출 세액-매입 세액을 뺀다.
부동산 임대사업자의 경우에는 처음 부가세 금액이 많다. 벌써 환급을 다 받았고,
매출이 발생하면 (월세),
매출에 대한 매입(임차인의 변동으로 인한 부동산 중개비, 공실 관리비, 수리 비용 등이 매입비용으로 적용 가능)을 빼고
부가세를 납부하게 된다.
건물에 임차인이 있는데, 임차인이 매월 마다 지급하는 월세가 매출액이 된다.
매출(공급가액) = 월세(공급가액)+부가세 10%
6개월간의 월세를 받았을 때 부가세를 납부해야하는데,
이 기간 사이에 임차인의 변동 등으로 중개수수료 발생, 인테리어 수리, 공실 관리비 등이 발생하면
그 비용(매입 비용영수 자료 필요)을 차감하고 나머지 차액을 납부하게 된다.
대출이자나 화재보험료 등은 불공제 대상이다! 그러나 금액이 많으면 장부 작성을 해서 비용처리가 가능하다!
실적이 없으면, 무실적 신고를 해야 한다!!!
폐업 신고 이후에 폐업의 부가세도 신고해야 한다!
폐업일부터 다음 달 25일까지 반드시 신고·납부를 해야 한다.
아니면 계속 납부하라고 연락이 간다.
부동산은 매입할 때 부가세를 모두 환급을 받았기 때문에
10년 동안 잔존가액을 환급에 포함하여 받았기 때문에
10년의 임대사업 기간을 채우지 않고 중도에 폐업하게 되면,
반드시 세무서를 가서 잔존가액이 남아있는지 확인하고
공제받은 부가세를 환수해야만 된다!!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신고 동영상을 참고해도 된다.
전자 신고하다가 문의 사항 생기면 전자 신고 방법을 따라 문의하면 된다. (꿀팁!)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 환급신고]오피스텔 상가 분양권 임대사업자 부가세 환급 신청하기 (0) | 2023.03.21 |
---|---|
[부가가치세 신고]부가가치세 임대사업자 전자신고 셀프로 하기 (0) | 2023.03.21 |
댓글